Weddings

이민자들과 그 후손으로 이루어진 미국이지만, 요즘 TV나 인터넷을 보면 미국인들도 뭔가 자신의 뿌리를 찾으려고 하는 게 보입니다.  족보를 만든다든가, DNA를 검사해서 인종구성비율을 알아본다든가 하는 것인데요. 미국사람들이 자신의 문화적 배경이라든가 정체성을 어느정도 나타내는 대표적인 이벤트가 결혼식입니다. 6월은 마침 결혼식의 달이기도 한데요. 물론 전통적으로 White Wedding이라는 걸 하죠. 지금은 미국을 따라서 이렇게 결혼식을 하는 나라가 많고 한국도 거기에 포함되지만 원래는 영국의 풍습이죠. 한국이 미국식을 들여와서 조금씩 바꿨듯이, 미국 역시 영국의 본래 형식을 좀 바꿨습니다. 미국 결혼식에 한두 번 참석을 하셨겠지만, 혹시 아직 경험이 없으시거나, 또는 장차 비한국인과 결혼하시는 분을 위해서 오늘 말씀을 좀 나눌까합니다.

Source: Weddingmarathon.com

Source: Weddingmarathon.com

우선 약혼식이 공식적으로는 따로 없고요, 결혼 준비를 꽤 일찍 시작합니다.  적어도 만 1년전에는 해야 자기가 바라는 장소와 시간을 고를 수 있고요.  하객들도 이 큰 땅덩어리에서 멀리서도 오려면 한참 전에 초대를 해야 스케줄을 조정할 수 있겠죠.  또 직접 결혼식에 참여하는 사람들을 the wedding party라고 해서 여기서 party는 잔치라는 뜻이 아니라 일행, 그룹이라는 뜻이죠.  Restaurant에서 “Kim, party of five!”할 때 그 party입니다.  Bride와 groom, 또 들러리로 bridesmaids와 groomsmen이 있고, ushers라고도 하죠.  가장 친한 여자와 남자는 maid of honor 또는 matron of honor (여자가 결혼을 했을 경우), best man이라고 불립니다.  어린이들이 나오게 되면 flower girl과 ring bearer가 있고요.  따로 사회는 없고요, 주례와 비슷한 개념으로 officiant가 있죠.  즉 결혼식을 주관하는 사람인데, 대부분 clergy, 성직자가 맡게 되고, 판사나 시장 등의 고위 공무원도 preside, 즉 주재할 수 있습니다.  결혼식 하루이틀 전에 이 wedding party가 예행연습을 하죠. 그후에 rehearsal dinner라고 해서 좀 좋은 곳에서 저녁을 먹으면서 작게 미리 축하를 합니다.  그때 couple이 wedding party 멤버들에게 작은 선물을 하기도 합니다. Bridal shower를 한 경우에는 거기에서 선물포장지나 리본을 연결을 해서 꽃처럼 만들어서 그걸 예행연습때 부케 대신 듭니다. 

결혼식때 꼭 들어가는 순서로는 구두로 하는 결혼서약인데, 주관하는 사람이 질문을 하고 신부와 신랑은 I do로 대답하는 경우가 가장 흔하고요, 질문은 거의 비슷하지만 couple에 따라서 조금씩 바꾸기도 합니다. 요즘은 자기들이 직접 이 wedding vows을 써서 읽기도 합니다.  그리고 자주 등장하는 것이 혹시 이 결혼을 반대하는 이유가 있는 사람은 지금 얘기를 해라, 하는 게 있습니다. 반지교환을 하면서도 그 의미에 대해 직접 말을 하거나 주관인이 얘기를 해주죠. 종교적인 예식인 경우에는 물론 다른 순서도 포함이 많이 되고요.

그런데 여기서 민족별로 자기의 색깔을 나타내기도 합니다. 예를 들면 유태인인 경우에는 보통 chuppah라고 하는 작은 천막 같은 것 아래에서 식을 거행하고, 유리를 발로 밟아서 깨게 됩니다. 원래는 Jerusalem의 성전이 무너진 것을 상징했지만, 요새는 정서적으로만 유태인이지 종교적이지 않은 사람이 많은데, 이런 사람들도 유리 깨는 것은 다 하거든요. 그럴 때에는 다른 의미를 부여하기도 합니다. 또 흑인들은 빗자루를 갖다놓고 건너뛰는데요. 이것은 서Africa의 관습이었다고 하는데, 미국에 노예로 와서 서로 결혼을 할 때 법적으로도 인정이 되지 않았고, 따로 결혼식을 할 수도 없었기 때문에 이 행동을 함으로써 자기들끼리 정식 결혼을 한 것으로 쳤다고 합니다. 그래서 지금도 하고 있죠. 흑인인 것은 바로 알 수가 있으니까 놀라지 않겠지만, 백인인 경우에는 결혼식에 가서야 아, 이사람이 이쪽이구나, 하고 알기도 합니다. 일반 미국사람들이 자신의 혈통을 얼마나 나타내고 싶어하냐하면, 예를 들어서 족보를 잘 모르고 1/4정도가 Scotland다, 이렇게 알기만 해도 평생 Scotland와 관계된 일은 하나도 없다가 결혼식때 괜히 kilt를 입고 hand-fasting이라는 순서를 집어넣고 합니다.  그런데 이런 것이 이민자 세대의 풍습이 그대로 내려와서 본국에서는 이제 하지 않는데 이민자들이 간 나라의 후손은 하는 경우가 있고, 또 하나는 이민자의 후손이 잘 몰라서 제대로 하는 게 아닌 경우도 많습니다. 즉 무슨 민족은 어떤 풍습이 있다더라, 하고 책에서 보고 배웠거나 해서 결혼식때만 이런 뿌리를 찾으려고 했는데 알고보니 그 풍습이 본국 전체에서 지킨 게 아니라 특정 지역에서 전해내려오던 거였는데 자기의 조상은 그쪽이 아니었다, 이럴 수도 있거든요. 또는 미국의 전통과 섞여서 좀 국적미상인 순서가 되었는데 그걸 모르고 자기가 하는 순서가 정말 본국의 순수전통이라고 잘못 아는 사람도 적지 않죠. 그러나 어느 경우든 결혼식에서는 어떤 순서를 집어넣어도 하객들이 아, 그런가보다, 하기 때문에 대부분 괜찮습니다. 자신의 날이니까요.

피로연은 보통 다른 장소로 옮겨서 하는데, 밴드가 라이브로 결혼식의 단골 음악을 연주하고, 결혼한 커플이 첫 댄스를 합니다. 선곡도 해야 하고, 몸치인 사람은 사전에 연습을 많이 해야하고요, 흡사 노래를 좋아하는 한국에서 음치들이 회식 등에 대비해서 노래 한 곡은 꼭 배워두는 것과 비슷하다고 하겠습니다. 그리고 커플의 가족이나 wedding party의 멤버들이 toast를 하면서 짧게 축하연설을 하는데요. 혹시 자녀가 비한국인과 결혼을 하신다면 이 연설만 잘하셔도 사돈과의, 또 사위나 며느리와의 관계가 훨씬 좋아지실 겁니다. 또는 부부는 한인이라도 하객중 한국어를 모르는 사람이 많으면 영어로 해야죠.  저희 educhora에서도 이런 연설을 준비해드릴때 참 재미있어요. 연설이 유우머도 좀 있어야 하고, 뭔가 끝에는 사람을 감동시켜야 하는데, 그러려면 그 신혼부부에 대해 말씀을 많이 들어야 쓸 수 있거든요. 별 얘기가 다 나옵니다. Wedding cake을 자르고, 나중에 타고 떠날 차에 “Just married”라고 쓰는 것을 비롯, 치장을 하는 풍습도 있죠.

하객의 드레스 코드는 시간과 장소에 따라 다릅니다.  밤에 실내에서 하면 제일 차려입고요, 그것과 정반대로 낮에 야외에서, 그것도 정원이 아니라 해변에서 한다, 그러면 굉장히 casual로 입게 되겠죠. 흰색은 입지 마시고, 원래는 검정도 입는 게 아니었지만 요즘은 많이들 입으시죠. 가장 무난하려면 졸업식 때 좀 갖춰입는 것, 그런 차림이면 될 것 같습니다. 한국처럼 신랑의 엄마라서 파란색을 입어야 하거나 그런 것은 없고요. 축의금은, bridal registry라고 해서 결혼식 전에 미리 어느 백화점이나 상점에 등록을 하면, 결혼할 커플의 이름으로 리스트를 받아서 주문을 하거나 구매를 하면 되죠. 현금을 결혼식 당일에 주는 것은 미국에서는 많이 볼 수 없습니다.

MiamiSprings Memories Paul (Noel) Stookey of Peter, Paul and Mary sings Wedding Song (There Is Love)

khoraComment